타입일치 형변환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v2 = 1;
double v3 = 1.0;
// 타입일치. v2가 v3변수의 double형변환된다. 그리고 비교가 이루어진다.
System.out.println(v2 == v3);
double v4 = 0.1;
float v5 = 0.1f;
// v5변수가 double형으로 변환이 이루어진다. 실수값 표현하는 방식의 오차로 인한 문제로 같지않다.
System.out.println(v4 == v5); // false
//v4 double형 변수를 float형으로 변환 후 비교는 값의 문제가 발생되지않는다.
System.out.println((float)v4 == v5 ); //true
System.out.println((int)(v4*10) == (int)(v5*10));//true
boolean연산자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관계연산자, >, < , <=, >=, ==, !=
int num1 = 10;
int num2 = 10;
boolean result1 = (num1 == num2);
boolean result2 = ( num1 != num2);
boolean result3 = (num1 <= num2);
System.out.println("result1=" + result1);
System.out.println("result2=" + result2);
System.out.println("result3=" + result3);
모든 데이터 유형은 비교가 가능하다. 내부적으로는 숫자로 관리되므로.
char char1 = 'A'; //65
char char2 = 'B'; //66
boolean result4 = (char1 < char2); // true
System.out.println("result4=" + result4);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| (or) , and(&&), 이항(>>,<<,>>>) 연산자 내용 정리 (0) | 2022.09.06 |
---|---|
Equals 메모리 주소비교,값 비교 (0) | 2022.09.06 |
증감연산자, 사칙연산, char, overflow 내용정리 (0) | 2022.09.05 |
큰 변수 데이터 타입으로 자동형변환 정리 (0) | 2022.09.05 |
변수,자동형변환,실수형변환 수업정리 (0) | 2022.09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