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 66

Equals 메모리 주소비교,값 비교
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데이터타입은 기본데이터타입(값타입)과 참조타입으로 구분된다./ // 구분 : 기억장소를 관리하는 방법이 다르다. // 1)기본데이터타입(원시타입) 8개 : 값타입(Value Type) . 직접 // byte,short(char),int,long,float,double,boolean // 값타입으로 기억장소를 생성하는 문법 // 데이터타입 변수명; 예> int a; // 2)참조타입: 클래스, 열거형, 배열 등 . 간접 // 참조타입으로 기억장소를 생성하는 문법 // 클래스명 변수명 = new 클래스명(); //String 클래스는 2가지 유형으로 변수를 선언할수 가 있다. //문법1> 값타입 유형 // "홍길동" 문자열 데이터..

JAVA 2022.09.06

타입일치 형변환, boolean 연산자

타입일치 형변환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v2 = 1; double v3 = 1.0; // 타입일치. v2가 v3변수의 double형변환된다. 그리고 비교가 이루어진다. System.out.println(v2 == v3); double v4 = 0.1; float v5 = 0.1f; // v5변수가 double형으로 변환이 이루어진다. 실수값 표현하는 방식의 오차로 인한 문제로 같지않다. System.out.println(v4 == v5); // false //v4 double형 변수를 float형으로 변환 후 비교는 값의 문제가 발생되지않는다. System.out.println((float)v4 == v5 ); //true System.out.pr..

JAVA 2022.09.05

증감연산자, 사칙연산, char, overflow 내용정리

// 증감연산자. 증가++ 감소-- // 전위형 : 변수앞에 사용, 후위형 : 변수뒤에 사용 int x = 10; int y = 10; int z; //sysout 단축키 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--------"); //증감연사자를 사용한 변수가 단독으로 사용시 1값 더한 후 변수의 값이 사용된다. x++; // 후위형증가 연산자 x = x + 1; ++x; // 전위형증가 연산자 x = x + 1; // 변수앞에 사용하면 , 변수에 1을 더한후 변수의 값을 읽어온다 // 변수뒤에 사용하면, 변수값을 먼저 읽어오고, 변수값 출력하고, 1이 더해진다 System.out.println("x=" + x++); // 출력은 12. 1이 후에 더해진다. // x= 13 인식..

JAVA 2022.09.05

큰 변수 데이터 타입으로 자동형변환 정리

byte byteValue1 = 10; byte byteValue2 = 20; //byte변수끼리의 합의 결과를 int로 해석하도록 되어있다. //byte byteValue3 = 10 + 20; int intValue1 = byteValue1 + byteValue2; System.out.println(intValue1); //아스키코드 < 유니코드 // 0~65535범위 char charValue1 = 'A'; // 내부적으로 숫자로 저장된다. 아스키코드표 65 소문자 a 92 char charValue2 = 1; int intValue2 = charValue1 + charValue2; System.out.println("유니코드값: " + intValue2); System.out.println("출력문..

JAVA 2022.09.05

변수,자동형변환,실수형변환 수업정리
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실수값 저장. float(4), double(8)기본 //3.14, 3.14d, 3.14D 동일한 double 실수데이터타입 표현. 8byte크기 double var1 = 3.14; //4byte의 기억장소에 3.14 8byte크기의 데이터를 저장(대입) 할 수가없다. //float var2 = 3.14; float var3 = 3.14F; //정밀도 테스트 double var4 = 0.1234567890123456789; float var5 = 0.1234567890123456789f; System.out.println("var1: " + var1); System.out.println("var3: " + var3); Syste..

JAVA 2022.09.05

자바 변수 강의 정리

//Scope 범위 //변수선언 위치에 따라서 변수가 인식이 되고 안되는 특징이 있다. int var1; //if문안에 선언된 변수는 다른 위치에서는 사용이 불가능. if(true) { int var2; var2 = 10; var1 = 20; } //코드 에러발생시 class파일이 컴파일 되지않는다 // System.out.println(var2); System.out.println(var1);​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기억장소 생성: 테이터 타입 //정수 데이터를 보관 하고싶은 기억장소 생성:어떤 데이터타입? //byte, short, char, int, long //사용법: 데이터 타입 이름(변수); int value; //int형 데이터 타입 4..

JAVA 2022.09.02